(논란주의) 비트코인에 부동산 투자는 불결한가?

비트코인 순혈주의의 모든 종교에는 여러 종파가 있다. 그리고 같은 종파 내에서도 교리의 정석을 추구하는 순혈주의부터 생활종교인 등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한다.늘 하던 얘기지만 비트코인(혹은 비트맥시) 안에서도 본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혹은 비트코인을 얼마나 이해했느냐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이 존재한다.그런데 요즘 들어 이런 의견을 많이 들어. 비트코인이라면 ‘투자’라는 마인드보다 구매력 ‘저축’이라는 마인드로 비트코인을 모아야 한다.매수라는 말도 별로인 것 같다.

피아트 시스템에 의존하는 다른 자산에 투자하는 것은 부도덕하다.

레버리지하는 것은 남의 피를 빨아들이는 것과 같다.

여기서 밝혀야 할 것이 있다.나 역시 비트코인이 건전화폐(sound money)라고 생각하며 장기적으로는 지금보다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를 희망한다.하지만 그렇다고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미시적 행위가 비판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실컷 그렇게 해도 된다고 말하고 싶어 왜?미시적 개인의 이익과 거시적 사회의 이익을 철저히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간이 만들어낸 제도 내에서 미시적 이익과 거시적 이익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반하는 경우도 많다.비트코인을 탐구한다면 반드시 생각해봐야 할 점이다.

조별 발표가 성공하려면?인류가 만들어 낸 많은 제도는 개인의 최선이 전체의 최악이 되는 죄수의 딜레마(혹은 공유지의 비극)을 엿볼 수 있다.조별 발표라는 거시적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려면 회원 전원이 최선을 다해야 한다.이지만 어차피 모두가 똑같은 점수를 주는 상황이라면 개인의 입장에서는 최선을 다하는 이유가 없다.오히려 최소한만 참가한 것이 이득이다.그러나 이는 거시적 목적의 성공에 어긋난다.맞아도 틀린 게 있어도 싫든 관계 없이 무의식이며 의식적인 관계 없다.교육 시스템의 궁극적 목표는 공공의 선이기 때문에 우리는 어릴 때부터 거시적 사고 훈련을 받고 있다.그러므로 거시적 플레이어의 이익 추구가 결코 예쁘게 보이지 않는다.이런 상황에서 다음과 같은 비판은 우리에게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다”이라고 말했다!각자 살길을 찾으려고만 하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되는 거야!?다 실패하는 거잖아!네?!”자유 시장(free market)가 대단한 발명품인 것이 바로 이런 이유다.2개의 이익이 일치하는 몇 안 되는 발명품의 1개이다.한 사람 한 사람이 이기주의에 따른 최선을 추구하지만 사회 전체의 균형 점이 더 최적인 상태로 이동한다.비트 코인도 이런 점에서 놀랍다.네트워크의 강건성이 이타심이 아니라 이타심에 기초하고 있다.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본인의 이익 때문에 힘차게 파이팅할수록 네트워크가 강해진다.같은 장소를 향하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2가지 이익.이 상반되는 관계에 대해서”사피엔스”을 통해서 얻은 아이디어를 하나 더 소개하자.(정말 사피엔스는 비트 코인의 책이야. ww)

농업혁명=’사상 최악의 사기’ 농업혁명 파트의 첫 단락 제목이 이렇다. 무려 역사상 최악의 사기 ㅋㅋㅋ 한때 학자들은 농업혁명이 인간성을 향한 위대한 도약이라고 생각했다…사람들은 너무나 영리해져 자연의 비밀을 파악하고 양을 길들이며 밀을 재배할 수 있게 되고….질리고 위험하고 가혹했던 수렵채집자들의 삶을 포기하고 농부들의 만족스러운 삶을 즐기기 위해 정착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환상이다.유발할라리사피엔스,p123-124

맥락 없이 들으면 상당히 충격적인 내용인데 도대체 무슨 주장일까?우선 밀은 어디서나 자라는 것이 아니라 매우 특정한 환경을 조성해야 번성한다. 다시 말해 대량으로 키우기는 매우 어려운 작물이다. 전 세계의 많은 인간들은 새벽부터 해가 질 때까지 밀을 돌보는 것 외에는 거의 아무것도 하지 않게 되었다. 밀을 키우는 것은 쉽지 않았다. 많은 노동력을 요구…밭을 고르느라 등골이 휘었다…불타는 태양 아래서 하루 종일 잡초를 뽑는 노동…해충이나 고름병을 조심해야 했다…토끼와 메뚜기떼를 막아야 했다…샘과 개울에서 물을 뺐다…땅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동물의 변을 모아야 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인간은 밀 재배에 익숙한 신체 구조를 갖고 있지 않았다. 게다가 밀이 더 나은 식사를 제공한 것도 아니다. 인간의 몸은…사과나무에 기어올라 가젤을 쫓는 데 적응했지만 바위를 제거하고 물통을 운반하기에 적합한 몸이 아니었다…농업으로의 이행에 따라 허리디스크, 관절염, 탈장 등 수많은 질병이 발생했다…보리밭 옆에 영구 정착해야 했다. 곡류를 주식으로 하는 식단은 미네랄과 비타민이 부족해 소화시키기 어렵고 치주 조직에 해롭다.

그리고 농업에 의해 Single point of failure에 노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폭력성도 더욱 높게 조장되었다. 농부의 삶은 수렵채집자의 삶보다 불안정했다.. 밀이나 감자, 쌀 등 단 하나의 포기에 의존했다.. 비가 오지 않거나 메뚜기떼가 습격당하면 수천~수백만명씩 죽어갔다.. 인간간 폭력에 대한 안전망도 제공하지 않았다.. 이웃의 습격으로 목초지를 잃는 것은 생사에 관계되는 문제였기 때문에 타협의 여지는 거의 없었다. 수렵채집자 무리는 경쟁자로 몰렸을 때 통상 다른 곳으로 옮겨갈 수 있었다..(반면) 농부들은 그 자리에서 버티며 끝까지 싸우는 경향이 있었다.여기까지 들어보면 도대체 농업혁명이 인간에게 무엇을 주었을까. 그게 바로…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준 것은 아무것도 없다.하지만 호모 사피엔스 종에게는 뭔가를 줬다.밀 경작은 단위 토지당 식량 생산을 크게 늘렸고 그 덕분에 호모 사피엔스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었다.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꼭!! 해당 부분을 따로 읽어보는 것을 권장함 :)(종교)전쟁 농경은 인간 개인은 저주지만, 인간 사회에는 축복이라는 매우 신선한 관점이다.특히 이웃 동네의 호모·에렉투스의 무리를 정복하고 싶어 하는 사피엔스 부족장에는 큰 축복이었을 것이다.왜?숫자를 늘리고 이웃을 쓸어버리고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한 것이니까.전쟁의 뒷바라지를 해야 하는 미시적 개인에게? 심각한 고통 자원을 동원하고 자신의 몸이 죽어 가야 하니까 부족장과 황제, 제사장처럼 정치/종교적 목적을 이루려는 거시적 사고/행동을 하는 플레이어에는?핵 축복이다.비트 코인 스탠다드라도 이런 주장이 보는 것은 아닌가?금본위제(gold standard)는 개를 주고 연화(soft currency)을 사용했기 때문에 제1차/2차 세계 대전 같은 거대한 전쟁을 금융적으로 지원한(Financing War)고통은 누구의 역할…?미시적 플레이어를 위한 돈은 철저하게 미시적 플레이어의 입장에서 비트 코인을 투자/인수/저축하다.물론 인간 사회에 거시적으로 어떤 축복을 줄것인지에 대해서 상상도 하면서 희망도 갖는다.비트 코인은 누구를 구할 수 있을까?거지 같은 통화 정책으로 고생한 글로벌 시민들이다.치우침 톤·우즈 체제 이후 180여개국의 지도자들은 자국 통화 정책에 대해서 많은 재량을 발휘하게 됐다.그리고 어떤 국가는 적당한 차원에서 정책을 잘 운용했다.그러나 지도자가 부도덕하고 비윤리적이거나 경제 운영에 무지했기 때문에 거지 같은 통화 정책을 전개하는 나라도 있다(많이)고통은 해당 국가의 시민의 역할이었다.돈(money)로 사용되는 명목 화폐(원화 화)이 가치 보존의 기능을 잃어 버리면, 대중은 눈에 이중 심지를 달아 뭔가 자신의 구매력을 보존하기 위한 자산을 열심히 쫓아다녔다.한국의 외환 정책이 짐바브웨 수준에서 거지 같은 것은 아니지만, 어쨌든 한국 국민도 과도한 통화 팽창의 고통을 받아 왔다.그래서 모두가 달려간 곳은 서울의 강남 아파트였다.아르헨티나/터키 국민은 삼성 냉장고, 애플의 아이 폰, 심지어 나이키 신발까지 가치 저장 창고로 활용했다.그러나 이들 모든 것은 절대적으로 희귀도 아니고 휴대성/유동성이 떨어진다.이런 사람들에게 비트 코인이 말한다.나를 적어 주십시오비트 코인은 그들에게 필요한 돈으로 세상에 나섰다.결코 거시 플레이어를 위한 돈이 아니다.오히려 거시적인 플레이어에는 아주 골을 치는 돈이다.비트 고 이너가 부동산 투자하는 것이 옳으며, 틀렸다는 차원의 이야기를 하는 것은 아니다.비트 코인을 이해하는 DCA하는 행위 CB를 발행하고 비트 코인을 인수하는 마이크로인 행위 구매력 보존 때문에 강남 아파트를 투자하는 행위, 이들 모두 철저하게 미시적 관점의 플레이어로서 “fit을 short한다”라는 점에서 맥이 통한다는 것이다.부동산 투자가 불결하게 느낄 수 있다면 2가지 관점을 잘 구분하여 보라.당신은 왜 비트 코인을 사들이고 있나요?개인의 구매력을 최대한 보존하기 위해서?더 나은 인간의 세계를 위해서?둘 다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하지만 명심하자.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은 일치하기 어려운 것이 보통이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